오늘의 목표

1. 가정법의 개념과 형태

2. 가정법의 종류

3. 가정법 도치

 

 

 

#가정법

=말 그대로 가정하여 말하기, 불가능한 일이거나 발생하지 않은 일

ex) If i had time, i would help you

 

#직설법

=어떤 조건이 참이라면, 실행문을 처리한다.

ex) If he has time, he will help you

 

가정법과 직설법을 잘 구분하도록 하자.

 

 


 

#종류 및 형태

우선 4가지의 경우로 나뉜다.

 

1) 현재의 상황

2) 과거의 상황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3) 혼합의 상황(과거 ~ 현재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4) 특이 케이스(실현 가능성이 낮은 미래의 일)

 

 

마치 동사가 현재 현재진행 현재완료 과거 과거진행... 등으로 나뉘듯이

이렇게 4가지 케이스로 나뉜다

이걸 머리 속에 집어넣자.

 

 

1) If + S + V과거 ~, S + w,c,m(would,could,might) + V원형

 

2)If + S + had p.p ~, S + w,c,m(would,could,might) + have p.p

 

3)If + S + had p.p ~, S + w,c,m(would,could,might) + V원형

 

4)

[1]  If + S + should + V원형 ~ , S +WCM + V원형

 [2]  If + S + should + V원형 ~ , 명령문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 

위의 4가지 경우를 달달 외운다.

 

 


 

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하다.

 

1. 주절을 통해서 If절을 유추한다.

2. If절을 통해서 주절을 유츄한다.

 

그래서 위의 네가지 형태만 달달 외우면 다 해결된다.

 

그러면 조심해야 할 것은?

 

  1. has는 쓰이지않는다 저기서 have라고 적혀있으니 he가 와도 has가 아니라 have를 사용하자.
  2. was를 쓰지 않는다 무조건 were이다.
  3. 혼합의 경우 헷갈릴 수 있는데 보통 혼합은 과거~현재이므로 If절에 had p.p여도 주절에 now같은 현재를 나타내는 단서가 있다면 혼합가정법이다.

#도치

 

도치는 매우 간단하다.

 

were + S -

Had + S + p.p

should + S + V원형

 

위에 4가지를 달달 외우니 보기만해도 감이 오지않는가?

모르겠다면 다시 위에 4가지 경우를 달달 외우자.

해석은 똑같다.

 

 


 

#총정리

 

+ Recent posts